안치환
Ahn Chi-hwan
GENERAL DETAILS
Male
Musician
K-Pop, K-Drama
ABOUT ME
 '솔아, 푸르른 솔아'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우리의 삶을 깊은 시선으로 바라보며 변함없는 열정으로 노래하는 싱어송라이터, 이 시대 많은 이들의 단단한 정서적 지지를 이끌어 오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뮤지션이다. 대표곡으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내가 만일", "사계", ."사랑하게 되면", "우리가 어느 별에서", "이 산하에", "오월의 노래" 등이 있다.

안치환은 1989년 노찾사 2집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기 때문에 보통 그를 민중음악 가수로 불렀다. 하지만 노찾사 2집에서 참여한 내용을 보면 단지 그를 ‘민중음악 가수’가 아닌 ‘음악창작자’로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그는 이 음반에서 <광야에서>(작사/작곡:문대현)와 <마른잎 다시 살아나>(작사/작곡:안치환)를 솔로로 부르고,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잠들지 않는 남도>를 만들었다. 사실 2집의 타이틀곡 성격인 <그날이 오면>을 빼면 주요곡 대부분을 안치환이 만들었지만, 이 점은 잘 얘기되지 않고 있다.

그는 1990년에 솔로로 독립하여 1집 [첫 번째 노래모음]을 발표한다. 그러나 아직은 자신의 음악 스타일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노찾사 앨범에 수록된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가 여기서는 <솔아 푸르른 솔아>로 바뀌어져 있다. 1991년에 2집 [노래 한마당]을 발표하는데, 박기영, 조성오, 배영길 등이 참여했다. 영화 ‘파업전야’에 삽입되었던 <노동자의 길>과 <철의 노동자>가 담겨 있다. 여기까지는 음악적으로 노찾사의 연장선에 있었고, 그의 표현대로 ‘음악적 답답함’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1993년에 홀연히 3집 [Confession]을 발표하는데, 세션진이 달라진 만큼 음악적으로도 달라진다. 세션진은 안치환(v, g, har), 조동익(b), 김현규(b), 함춘호(g), 손진태(g), 김영석(d), 배수연(d), 박용준(key), 김효국(key), 이정식(sax)이다.

“누구도 나에게 이 길을 가라하지 않았네. (중략) 노래여 나의 생이여. 노래여 가난한 내 청춘의 꿈이여”라고 시작하는 <고백>은 90년대 달라진 사회 환경에서 새롭게 음악 인생을 시작하는 안치환 자신의 변이다. 90년대의 록커로 새롭게 탄생된 그는 당시 일반 사람들은 별로 인식하지 못했겠지만, 김광석, H2O와 함께 90년대의 진정한 록커였다. 그리고 그는 철저히 ‘한국적인 록’의 화법으로 노래하고 싶었던 뮤지션이었고, 삶의 진정성이 담긴 가사들로 노래를 만들고 싶어 했다.

3집은 당당하게 펼치는 힘있고 투철한 그리고 건강한 정신이 담긴 곡들이 주를 이룬다. 그중 자신이 좋아하는 김남주의 시에 곡을 붙인 “만인을 위해 내가 일할 때 나는 자유”라는<자유>는 그의 모든 노래 중에서 진품에 속한다. 그 외 류시화의 시에 곡을 붙인 <소금인형>, 정호승의 시에 곡을 붙인 <우리가 어느 별에서>, 나희덕의 시에 곡을 붙인 <귀뚜라미>가 수록되어 있다.
이전 3집의 성과를 바탕으로 드디어 1995년에 4집 [안치환4]를 발표한다. 세션진은 안치환(v, g, har), 조동익(b), 김현규(b), 함춘호(g), 손진태(g), 김영석(d), 배수연(d), 박용준(key), 김효국(key), 이정식(sax), 박영용(pcc)이다.
 이 음반은 단연 90년대 한국 록에서 가장 중요한 음반 중 하나이고, 그의 최고작이자 이 땅에 발을 디디고 사는 사람들에게는 필청 음반이다.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너를 사랑한 이유 A>, <내가 만일>과 한국 록의 어법을 나름대로 완성시킨 <수풀을 헤치며>, <너를 사랑한 이유 B> 등이 절묘하게 교차되어 실렸고, 그래서 지금 들어도 가슴 벅차게 만드는 ‘영속성’을 지닌 음반이다.

“수풀을 헤치며 물길을 건너 아무도 가려하지 않은 이 길을 왔는데 / 아무도 없네 보이지 않네 함께 꿈꾸던 참 세상은 아직도 머네 … (중략) … 떠나가는 자 남아 있는 자 울며 웃고 마시며 취해서 떠드는 사람들 속에 / 그댄 없는가 그댄 없는가 어디서 무엇을 하며 자신의 안위를 즐기는가”라는 <수풀을 헤치며>는 치열한 삶을 살아온 자만이 얘기할 수 있는 노래인데, 한국에서 처음 듣는 종류의 파격적인 가사여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노래 그 자체로 가슴을 뛰게 만드는 힘이 있다.

“하나뿐인 우산에 너의 어깰 감싸도 / 들판에 풀잎처럼 우린 비에 젖었네 / 저 멀리 뵈는 하나의 작은 끝점을 향해 / 걸었지 아무 말 없이 녹슨 철길을 따라 / 영원히 다다를 수 없는 시지프스 삶처럼 / 어쩌면 우리의 사랑 라라라…”라는 <평행선>은 일반적인 안치환의 이미지를 떠올리면 매우 이질적인 노래이고, 아마 안치환 디스코그라피에서 이전에도 없었지만 이후에도 없었던 독특한 노래일 것이다. 노래만 들으면 젊은 날의 추억을 신선하면서도 아련하게 표현한 것으로 들린다.

그 외 <당당하게><고향집에서><겨울 나무> 등이 담긴 안치환의 본 작은 당시 순수하게 감동을 준 음반이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의 단면들을 적절하고 통찰력 있는 비유로 표현하는 노래들은 그동안 그를 민중음악 가수로만 인식했던 사람들에게 개벽의 이미지를 전달했다.

안치환은 잠시 숨고르기를 하면서 1997년에 [Nostalgia]를 발표하는데, 자신이 예전에 부른 노래들에 대한 ‘향수’로 만든 음반이다. 그는 80년대 구닥다리 노래들이지만 한번은 정리를 하고 싶었다고 한다. <신개발 지구에서><영산강><부용산><타는 목마름으로> 등이 실렸다.
이어서 같은 해에 5집 [Desire]를 발표한다. 세션진이 바뀌었고, 안치환(v, g, har), 김남일(b), 이명원(b), 정용민(g), 권혁진(g), 김영석(d), 나성호(d), 박인영(key), 김장호(key), 이정식(sax), 이주한(horn)이 참여한다.

3집의 <자유>와 같이 김남주의 시에 곡을 붙인 <희망이 있다>가 이 음반의 압권이다. 다른 시인의 시보다 특히 김남주의 시를 노래화한 것이 완성도를 갖는데, 이는 김남주와의 개인적인 친분 이외에도 성향상 유사점이 있기에 가능했던 것 같다.

5집에는 꽃다지도 노래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와 <내가 만일>의 김범수가 만든 <사랑하려네>처럼 대중성을 얻은 곡 외에도, <하나를 위한 연가><우리의 꿈이 있는 한...> 등 매우 훌륭한 곡들이 실렸다.

이 음반은 ‘사랑’과 ‘외로움’, ‘희망’과 ‘절망’을 동시에 이야기한다. 4집에서와 같이 <얼마나 더><사랑하려네>를 전면에 내세우고, 이면에서는 <희망은 있다>라는 핵심적인 곡을 강력하게 노래한다. “그러나 왜 멎어야 하는가/ 이 땅의 삶의 노래가”라고 일갈하는 안치환의 노래는 투박하지만 질긴 생명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SOCIAL MEDIA